주식을 해설해 주는 프로들이 굉장히 많죠? 해설을 듣다 보면 금일 주식장은 혼조세로, 또는 보합으로 마무리하였습니다. 등등 처음 듣는 단어들이 나올 때마다 그런가 보다 하고 넘기시는 분들도 계실 테지만 궁금해서 찾아보시는 분들도 많이 있을 텐데요.
이번 시간에는 보합세 및 혼조세에 대해서 알아보고, 주식 시장에서 말하는 보합과 혼조는 도대체 무엇인지 우리는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 간단히 짚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 보합의 뜻과 강보합 , 약보합
보합이라면 이해하기 쉽게 설명드려 주식의 전일과 비교했을 때 주가 변동이 거의 없음을 의미합니다. 주식이 상승했다 다시 제자리로 돌아왔던, 하락했다가 제자리로 돌아왔던 다시 제자리로 돌아왔다면 보합이라고 말합니다.
1. 강보합
보합이란 의미를 이해했다면 강보합 , 약보합에 대해서 궁금하실 텐데요. 강보합의 경우는 보합이긴 하지만 주가가 조금 상승한 걸 의미합니다. 전일보다 약간 상승했지만 주가의 변동이 크지 않다면 강보합이라 말합니다.
2. 약보합
약보합의 경우는 강보합의 반대말로 전일보다 주가가 조금 하락했을 때 약보합이라고 합니다. 주가의 변동이 이어지다가 약간의 하락으로 마감했다면 약보합으로 마감했다고 말합니다.
● 혼조세란 무엇인가요?
보합과 혼조세를 같이 포스팅하는 이유는 두 개의 용어가 의미하는 것이 정반대이기 때문입니다. 혼조세의 경우는 주가의 변동이 크다를 의미합니다.
전일보다 크게 오르거나 내렸을 때 혼조세라고 말하는데 보합과는 다르게 변동폭이 크기 때문에 시장에 활기가 돌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추가로 보합과 횡보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물어보시는 경우들이 있는데요. 횡보의 경우는 주가가 장기간 동안 일정한 금액대를 벗어나지 못하고 지지부진한 상태를 말하지만 , 보합의 경우는 변동폭이 적은 주가의 마무리 가격의 자리를 말합니다. 어찌 보면 같은 말이기도 하지만 조금의 차이는 있는 게 이해되시죠?
그리고 보합의 경우는 시장이 침체되었고 안정적이다라고 받아들일 수 있고, 혼조의 경우는 변동폭이 크고 위험하지만 시장에 활기가 돌고 있다 판단할 수 있어 각자의 장점이 있으므로 주식 투자하시기 전 살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