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기본 서적을 읽다 보면 액면가라는 내용이 나옵니다. 일반적으로 PER, PBR, ROE 등 재무제표를 볼 때 기업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만 달달 외우고 계실 텐데요, 그러다 보니 액면가라는 내용은 잘 모르겠고 자주 보이기는 하는데 무슨 내용인지 잘 모르는 분들을 위해 이번 시간에는 간단하게 액면가에 대한 얘기 좀 해보려고 합니다.
● 액면가는 무엇인가요?
액면가란 1주의 가격을 뜻합니다. 1주의 가격이랑 현재 주식의 가치는 다르던데요? 하는 분들을 위해 간단하게 설명드리면 회사를 설립할 때 설립하는 과정에서 정하는 내용으로 1주의 가격을 설정해두는 것입니다.
주식회사 법인을 설립할 때 주주들이 정한 1주당 가격이지 이 가격을 공시하면 가격 변동이 있어서 고정되는 금액은 아니라는 걸 알고 계시면 되겠습니다.
● 어차피 변동된 주식 가격을 정하는 이유는?
우선 액면가를 정하는 이유 중 가장 중요한 이유는 최저금액을 정하기 위해서입니다. 최저 금액을 정하는 이유는 주식은 액면 미달의 가격으로 발행할 수 없다는 상법 기준이 있기도 합니다.
그런 최저 가격의 액면 가격에는 최소 100원에서 최대 5000원까지 6단계로 나뉘어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액면가는 주가의 변동에 따라서 오르기도 하고 내리기도 합니다.
그리고 액면가는 기업의 자본금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가 되기도 합니다. 자본금 = 발행주식수 X 액면가이라는 공식으로 기업의 자본력을 볼 수 있기 때문에 기업의 가치 판단을 할 때 사용되기도 합니다.
● 액면가, 발행가
액면가와 발행가의 기준이 모호하게 느껴지는 분들도 계실 텐데요. 액면가의 경우는 주식회사 설립 당시 정관을 통해 1 주읠 가격을 정하는 것이라면, 발행가는 실제 신주를 발행할 때 정하게 되는 가격입니다. 이 발행가의 경우는 액면가보다 높게 책정되는 경우가 있고요, 투자자들은 발행가로부터 변동된 가격으로 매매를 할 수 있습니다.
● 액면가로 회사의 자본금 파악하기
카카오 주식을 기준으로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현재 카카오의 주가는 93,900원 아래로 현재가 , 액면가, 시가총액 등등 정보를 쉽게 알아볼 수 있는데요. 위에서 알려드린 대로 액면가 곱하기 주식수를 곱하게 되면 자본금의 정도를 볼 수 있고 현재 시가총액과 비교했을 때 회사의 성장 정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쉽게 이해되시죠?
● 액면 분할이란?
액면 분할이란 1주의 액면가가 500원이라고 했을 때 이 액면가의 주식을 쪼개어 주식수를 늘리는 것을 말합니다. 주식 수를 늘리게 되면 1주의 가격은 쪼갠 만큼 줄어들기 때문에 우리와 같은 투자자들도 삼성전자같이 큰 기업을 매매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액면분할을 하는 경우는 부정적인 상황에서 하는 것이 아니라면 거래량이 급격하게 늘기 때문에 호재로 생각하고 투자하는 분들도 상당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액면가에 대해서 간단히 좀 애기해봤는데요. 사실 주식용어는 큰 비중을 두지 않아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처음 주식을 시작한다면 재무재표와 기업의 가치를 판단하는 기준을 세우는것이 가장 중요하다 생각하는입장이기 때문에 이번시간에는 간단히 훑어보시는 걸 추천드릴게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