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어려운 재무제표 쉽고 간단하게 살펴보기!

by 목동랄프로렌 2022. 2. 1.

주식의 종목을 고를 때면 재무제표, 차트를 보고 종목을 고르실 텐데요. 재무제표에 관련한 용어들을 쭉 읽어보고 재무제표를 보자면 이해도 쉽지 않고 어려운 단어들의 나열 때문에 종목 고르기가 망설여지는 주린이 분들이 다수 있으실 겁니다.

 

이번 포스팅의 경우는 재무제표에 관련해서 간단하게 짚어보면서 이런 내용을 위주로 봐야 하는구나 정도로 간략하게 훑어볼 수 있는 내용들을 알려드리고 재무제표를 볼 때 기본을 다지는 시간을 갖도록 하면서 포스팅을 준비했습니다.

 

 


 

 

● 재무 제표란?

 

재무제표는 간단하게 기업의 성적표와 같은 것입니다. 이 기업의 재무는 건전한지 매출액을 늘고 있는지 적자를 내고 있진 않은지를 말해주는 표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 어려운 단어들은 치워버리고 간단하게 우리가 보고 짚어봐야 하는 내용으로 포괄손익계산서, 재무상태표, 현금흐름 표등이 있습니다.

 

 

 


 

 

 

● 재무 제표는 어디에서 볼 수 있나요?

기업정보 확인 가능한 dart 사이트 메인 페이지

주식 투자에 관련된 사이트를 여럿 찾아보고 참고하셨을 테지만 가장 정확한 정보는 "DART"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시간에는 간단하게 훑어보는 시간으로 제가 자주 사용하는 영웅문 HTS에서 제공하는 정보는 기본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재무 제표를 보는 순서

 

재무 제표를 열어 놓고 어느 순서로 훑어봐야 하는지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서 기본적으로 재무상태표를 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재무 상태표에는 기업의 매출액 , 이익잉여금, 자산 등에 대한 내용 등이 있기 때문에 기업의 실적을 그대로 볼 수 있습니다.

 

이제부터 같이 살펴볼 화면의 경우는 영웅문 HTS의 기업분석 탭에서 제공하는 정보로 참고용으로 안내드리니 꼭 이 화면에서만 볼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영웅문 hts 재무상태표 매출액, 영업이익 확인 화면

1. 매출액

 

재무제표 탭의 가장 첫 번째 확인할 수 있는 사항으로 매출액이 제일 눈에 뜨일 겁니다. 매출액이란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서 낸 실적으로 매출액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는 것은 계속해서 성장하고 있고, 그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고 볼 수 있어 매출액이 증가한다면 주가도 같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2. 영업이익

 

같은 탭에서 주의 깊게 봐야 하는 것으로는 영업이익이 있습니다. 영업 이익의 경우는 매출액에서 비용을 뺀 금액이기 때문에 꼭 살펴봐야 합니다. 매출액은 높아져가고 있지만 영업이익이 늘지 않는다면 비용이 증가해 순이익이 많지 않다는 뜻이므로 영업이익이 상승하고 있는지도 같이 살펴봐야 합니다.

 

3. 자산, 부채, 자본

재무제표를 보기 전 기본 주식 상식으로 자산, 부채, 자본이 어떤 내용인지는 숙지가 되어있으실 텐데요. 아래에 내용은 기본적으로 숙지되어야 하니 꼭 참고해주세요.

 

★ 자산 = 자본 + 부채

 

 

자산의 종류 및 해당 정보 확인 화면

자산이란 자본과 부채의 합계를 말합니다. 내용만 보더라도 부채가 많으면 많을수록 이자 비용이 발생하고 그만큼 이익금이 줄어들기 때문에 좋지 않지만 어느 정도의 부채가 있어야 추가 사업을 영위 할 수 있기에 어느정도의 비율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자산의 경우는 유동자산 및 비유동자산으로 구분 항목이 나뉘어있는데 둘의 합계가 자산이 됩니다.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의 비율이 어떻게 다른지 간단히 짚어볼게요.

 

- 유동자산 : 유동자산이란 1년 이내에 즉시 현금화를 할 수 있는 자산을 말합니다. 현금화가 쉽게 된다는 것은 현금을 지출 해야하는 일에 문제가 적을 수 있기에 많을수록 좋습니다.

 

- 비유동자산 : 비유동자산의 경우는 유동자산과 다르게 1년이내에 현금화를 쉽게 하지 못하는 자산을 말합니다. 비유동자산 항목을 펼쳐보면 유형자산과 무형자산이 존재하는데 유형자산의 경우는 기업이 사업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자산으로 설비, 건물, 토지 등이 되겠고 무형자산의 경우는 특허 및 영업권과 같이 형태가 없는 자산을 말합니다.

 

 

 

 

 

 

유동부채, 비유동부채 내역 및 금액

그리고 살펴봐야 할 두 번째로 바로 부채입니다. 부채의 경우는 당연하게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면 기업에 좋지 않은 영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부채가 아예 없다면 앞으로의 사업에 공격적인 투자를 하지 않는 것이므로 회사가 성장하면서 부채가 같이 늘어나고 있다면 이는 회사 규모가 커지고 있다고 보아도 됩니다.

 

 

 

 

 

 

자본금 및 이익잉여금 분기별 금액 및 비교표

그리고 마지막으로 자본입니다. 자본금이란 어려운 단어를 제외하고 사업을 시작할 때 들어간 투자금 정도로 간단하게 알고 지나도 괜찮습니다. 여기서 중요하게 보아야 할 것은 자본금이 줄어든다면 이는 투자항목에서 제외해야 합니다. 자본이 줄어들어 자본잠식이 된다면 이는 상장폐지의 위기를 암시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아래 항목에서는 이익잉여금이 증가하는지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이익 잉여금의 경우는 영업을 통해 얻은 수익의 지출금을 제외하고 주주들에게 배당금을 지급한 후 남아있는 회사 잉여금입니다. 이 금액의 경우는 자본 총계에 30% 이상이면 건강한 기업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일반 HTS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순서대로 차근차근 살펴보니 어렵지 않죠? 어려운 단어들이 나열되고 어려운 정보만을 읽어보다 보니 이해도 어렵고 어떻게 봐야 하는지 막막하셨던 분들이 있으리라 생각이 되어 이번 시간에는 재무제표를 보는 방법을 간단하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재무제표 중 포괄손익계산서 및 재무상태표를 간단히 살펴보았는데요. 다음 시간에는 현금흐름표에 대해서 정비해보고 재무제표의 심화적인 공부를 통해서 살펴보는 시간으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