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식 예수금 미수금 증거금 뭐가 다른 건데?

by 목동랄프로렌 2022. 1. 6.

일단 주식을 시작하려고 하니 용어도 모르겠고 차트 및 재무제표 어떤 것부터 시작해야 할지 잘 모르시겠죠? 그렇다고 남들이 얘기하는 어떤 주식이 호재가 있다고 해서 투자를 하기에는 언제까지나 그렇게 하기에는 어려울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지만 어느 수준에서 어떤 기본서를 읽어야 나 혼자서 이 어려운 주식 시장을 이겨내 많은 수익을 낼 수 있을까 고민이신 분들이 있을 겁니다. 저도 물론 그랬었지만 지금 이 시간을 시작으로 어려웠던 주식을 어떤 기준으로 매매해야 할지 알아 가는 블로거를 시작하려 합니다.

 

그 시작으로 이번 시간에는 주식 계좌를 개설하고 이후 내 계좌에 있는 금액으로 매매를 시작하기 전에 예수금, 미수금, 증거금 어떤 차이가 있는지 어떻게 알고 있어야 하는지 개념부터 잡아보려 합니다.

 

 

 


 

 

 

 

증권 계좌에 들어있는 주식을 매수 할 수 있는 예수금

 

 

● 예수금이란?

 

예수금의 사전적 용어로는 거래 관계에서 선금 및 보증금으로 나중에 돌려줄 금액이라고 적혀있습니다. 이런 사전적인 용어로 보았을 때는 내용을 알기 어렵죠?

 

예수금은 간단하게 설명해서 증권 계좌에 들어있는 금액을 말합니다. 이 금액으로 우리는 거래를 하거나 나중에  출금을 하거나 하기 때문에 입출금이 자유로운 거래용 금액이라고 간략하게 이해하고 넘어가면 되겠습니다.

 

 

 

 

 

 

 

 

주식 결제일에 출금 될 금액보다 잔액이 적을 때 미수금일 발생한다.

● 미수금이란?

 

주식 결제일이 도래했을 때 증권 계좌에서 출금될 금액보다 잔액이 적을 경우 그 차액을 미수금이라고 합니다. 미수금이 발생하는 이유는 주식에서는 본인이 가지고 있는 예수금보다 많은 주식 미리 매수할 수 있고 이 금액을 거래일로부터 2일 이내에 입금하도록 하는 미수금 제도가 있기 때문입니다.

 

Q. 거래일 2일 이내로 입금하지 못하면 어떻게 되나요?

 

거래일 2일 이내로 미수금으로 매수한 주식을 증권사에서는 시장가 매도를 하게 되어있습니다. 이렇게 미수금을 이용해서 주식 매수를 했을 때는 미수금을 제때 입금하지 못하게 되면 손해를 보면서 매도하는 경우도 생길 수 있어서 유의해서 이용해야겠습니다.

 

 

 

 

 

 

 

 

증거금을 통해서 원래의 가치보다 많은 주식을 매수 할 수 있다

● 증거금이란?

 

증거금은 주식 거래를 할 때 보유금액보다 2.5~2.8배 많은 금액의 주문이 가능하다고 사전적 내용에 나와있습니다. 이를 증거금 제도라고 하는데요. 일종의 보증금으로 거래를 할 수 있다고 간략하게 알고 넘어가시면 될 것 같습니다.

 

주식을 거래할 때 증거금률이라고 있습니다. 각 주식마다 종목 아래에 증 40 신 45 이런 식으로 표기가 있는데 증 40이라고 표시가 있으면 40%의 증거금으로 주식을 거래할 수 있도록 마련해놓은 제도입니다.

 

위에서 설명드린 내용으로 증거금으로 미리 주식을 매수 한 이후 거래일로부터 2일 이내에 남아 있는 미수금을 입금하지 않으면 시장가 매도로 주식을 청산하게 되며 이렇게 되었을 때는 한 달이라는 시간 동안 미수동결계좌로 등록되어 거래에 불편함이 있을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주식을 시작 하기 이전에 알아야 할 기본적인 용어를 알아보았는데요, 저금리 저성장 시대에 이제는 투자가 기본이 되어야 될 것 같습니다. 다음 포스팅은 조금 더 유익한 정보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