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의 자산형성을 위해서 최근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가 신설되었습니다. 아무래도 정해진 급여에 지출비용도 많고 자녀를 낳아 기르거나, 결혼을 했을 때의 기회비용이 많이 드는 요즘에 돈을 모으기보다는 결혼과 육아를 포기하고 본인의 행복을 위해서 소비를 하는 것이 시대 흐름이 아닌가 싶습니다.
그런 측면에서 이런 청년 우대형 적금 및 펀드상품은 매우 반가운 일인데요. 이번 시간에는 청년형 소득공제 펀드에 대해서 알아보고 장, 단점을 짚어보는 시간을 갖도록하겠습니다.
●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란 무엇인가요?
이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기준에 부합하는 청년이 장기펀드에 가입했을 시에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상품입니다.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볼까요?
1. 자격 조건
청년형 장기펀드로 나이 기준은 만 19세에서 34세 이하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병역의무를 마쳤다면 6년까지 추가로 인정되니 나이 기준을 참고하여 신청 가능합니다.
소득기준의 경우는 총 급여액 5,000만 원 미만, 종합소득금액 3,800만 이하인 청년의 경우 신청 가능합니다.
2. 가입 기간 및 지원 혜택
최소 가입 기간의 경우 3년 ~ 5년까지 가입이 가능하며 월 불입금의 경우는 50만 원으로 1년에 600만 원으로 제한되어있습니다. 납입된 금액의 40%까지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으니 5년 만기 시 총 3000만 원의 목돈과 1200만 원에 해당하는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 2022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가입 방법 및 준비사항
펀드 가입을 위해서 해당 펀드 운용사의 계좌를 개설해야 합니다. 계좌 개설의 경우는 하나금융투자 , 미래에셋 대우 등과 같은 취급점을 방문하거나 모바일을 통해서 개설이 가능하니 개설을 진행하면 되겠습니다.
계좌 개설이 완료되었다면 소득증빙을 위해서 소득금액 증명원을 발급받아 펀드 가입 신청을 하면 되겠습니다. 소득금액 증명원의 경우는 홈택스를 통해서 발급 가능합니다.
●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의 장, 단점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의 장점의 경우는 한도와 소득공제 혜택에 있습니다. 청년 정책의 경우 가입 금액이 매우 제한적인 경우가 있어서 혜택을 받더라도 그 효과는 미비했었는데요. 월 50만 원 금액이라면 직장인에게는 조금은 부담될 수 있지만 넉넉한 한도로 납입이 가능하며 그 금액의 40%까지 소득공제 혜택은 괜찮은 장점입니다.
단점의 경우는 월 불입금 50만 원이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직장인의 경우 고정지출도 있을 수 있고 적금 및 투자를 할 수도 있고 현재의 월급여는 정해져 있는데 추가로 50만 원을 납입한다는 건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납입기간에 있습니다. 납입기간이 최소 3년에서 최대 5년으로 진행 시에 중간에 납입을 못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만약 중도에 해지하게 됐을 시에는 소득공제 혜택은 받을 수 없으며, 감면되었던 세액 중에 6%를 추징하게 되므로 가입해 시작하게 되었을 때는 3년은 무조건 납입한다는 마음으로 시작해야겠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2022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아무래도 좋은 혜택이긴 하지만 금액과 기간이 조금은 걸리는데요. 목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이렇게 힘든 게 현실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투자가 성행하고 파이어족을 꿈꾸는 청년들에게 목돈을 마련해야 된다고 말씀드리고 싶지만 사실 웬만한 의지로 시작해서는 큰 목돈 만들기가 쉽지 않을 텐데요. 이번 기회에 시작하는 것도 어떨까 싶네요.
댓글